일하는 저소득 사회초년생 근로자 청년들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에서 내달 1일부터 가입 범위가 더욱 확대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사업 접수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번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기간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5월 1일(월) - 5월 26일(금)까지 신규 가입자를 모집하게 됩니다.
지원대상
가입 연령은 만 15세-34세 이하인 청년으로써 현재 근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자가 지원 대상이 되겠습니다. 이번 저축계좌 사업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자로 요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준 중위 소득 50% 이하인 자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 청년)의 경우 근로 및 사업 소득이 10만 원 이상 그리고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인 자로 월 220만 원 이하의 수입이 있는 청년의 경우 지원이 가능합니다. 아래 표의 요건을 모두 충족한 자에 한해 청년내일저축계좌에 가입할 수 있겠습니다.
구분 | 차상위 이하 | 차상위 초과 |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연령 | 만 15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근로기준 | 월 10만원 이상 근로 또는 사업소득 | 월 50만원 초과 - 월 220만원 이하 |
가구재산 | 대도시 3.5억운, 중소도시 2억원, 농어촌 1.7억 이하 | |
지원액 | 매월 30만원 | 매월 10만원 |
지원내용
근로활동을 지속하는 경우 기준 중위소득 50%를 기준으로 나누어진 두 그룹은 다음과 같은 해택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먼저 기준 중위 소득 50% 이하인 그룹의 경우 매월 10만원 이상 저축, 3년 간 근로활동 지속, 교육이수 및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시 만기에 근로소득장려금 명목으로 총 108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기준 중위 소득 50%이상인 그룹에 대해서는 월 10만 원 이상 저축, 3년 간 근로활동 지속, 교육이수 및 자금사용계획서제출 시 만기에 근로소득장려금 명목으로 총 36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기준중위소득 소득상한 기준
구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
기준 중위소득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
가입기준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
유지기준 | 차상위 이하 | 4,434,816 | 4,434,816 | 4,434,816 | 5,400,964 | 6,330,688 |
차상위 초과 | 4,434,816 |
본인 적립금 한도 및 지원금
가입자 본인은 매월 최소 10만원 이상 납입을 실시해야 하며 최대 50만 원까지 만원 단위로 자유적립식 저축이 가능합니다. 이에 정부는 본인저축액에 더해 그룹 별로 10만원 또는 30만 원을 매칭하여 근로소득장려금을 지원하게 됩니다.
신청방법
요건에 해당하여 가입을 희망하는 청년은 신분증, 재직증명서를 지참하여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 접수가 붐빌 것을 우려하여 1일-12일까지는 출생일 기준 5부제로 운영됩니다. 이후 1일부터는 온라인 복지포털사이트 '복지로'를 통해서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선정결과 발표
접수된 자료를 근거로 검토 후 7월 말 - 8월 중 선정 대상자를 개별 통보할 예정이며 선정된 자는 하나은행을 방문해 통장을 개설하고 납입을 할 수 있겠습니다.
변경사항 및 유의사항
지난 해 처음 도입된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경우 50만 원 초과 - 200만 원 이하인 청년에 한해 접수를 받았으나 이번에는 220만 원까지 늘어나 접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최대 2년간 적립을 중지할 수 있는 요건에 휴직과 퇴사만 적용하였으나 올해 사업에서는 출산과 육아까지 포함되었다는 점이 큰 변화 중 하나입니다.
중앙부처 또는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별도의 청년통장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중복지원에 해당되어 승인이 거절될 수 있으니 이점 확인하시고 참여하셔야겠습니다.
오늘은 5월부터 접수가 시작되는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신청방법, 기간, 지원 내용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일하는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는 자산형성 및 자립을 촉진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되었으면 합니다.
'아빠의 육아기록 > 아빠의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날 평균 지출 비용은 얼마? (6) | 2023.05.01 |
---|---|
어버이날 가장 받고 선물은? (10) | 2023.05.01 |
일론 머스크 만난 윤 대통령, 기가팩토리 투자 요청 (6) | 2023.04.27 |
영유아 해열제, 챔프시럽 판매중지 (23) | 2023.04.26 |
문화가 있는 날 소개 및 혜택 (12) | 2023.04.26 |
댓글